YouTube Transcript:
”안 낳는 게 아니라 못 낳는 것“ 미국 석학이 바라본 한국의 저출산 원인|#골라듄다큐
Skip watching entire videos - get the full transcript, search for keywords, and copy with one click.
Share:
Video Transcript
View:
korea so
scw that [음악]
heard 여기 댓글들이 참 많이
달려 있는데요이 댓글들을 좀 읽어
보겠습니다 어 교수님을 기쁘게
해드려서 뿌듯합니다 마음껏 분석 자료로서
이용하세요 대한민국 우린 앞에서든
뒤에서는 1등 아니면 안
한다고이 정도면 멸정 위기종을 한국
사람으로 지정해야 되는 거 아니야 더
이상 노예를 생산하고 싶지 않아 함
이런 얘기도
있네요 세계 어디서도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경쟁 교육 경쟁 사회의
부작용이라고 본다 온 사회가 혐오로
가득차 있음 사람을 가치 있게 여기지
않는데 어떻게 결혼하고 애를 낳
힘들게 공부해서 대학 가고 직장 갔는데
갔는데 오면
경력단절 아직 놀라면 안 됩니다 더 내려갈
내려갈
거니까요 댓글들이 참 재치가 있네요
블랙 유머가 느껴진다고 해야 할까요
어 그런 유머 속에서도 씁쓸한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떤 댓글이 가장 눈의 드시던가
society that We're
going to be number
one whether It's top or
or [웃음]
[웃음]
bottom and that kind
of competitive
spirit is exactly
what produced the
economic miracle in
korea going from
quite a poor society
to one of the Major
industrial societies
in just a few
decades and I think
the thing That's
confusing and dism
is that exactly the
same values that
네 마지막 말씀이 너무나 가슴 아프고
전국을 찌르는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세계 최조 출산율을 기록하는 한국
무엇이 문제일까요이 점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아이를 낳으면 삶의 우선 순위가
바뀐다 누릴 수 있는 행복의 선택지가
많아서 굳이 아이를 안 나오려고 하는
것 같다
이런 얘기도 있었죠 소위 결혼 정년기
하는 20대 30대 두 분도 여기에
동의하시나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네 청년들이 과연 행복의
선택지가 많아서 인생이 안정적이어서
결혼과 출산에서 멀어질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저도 결혼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 거
같아요 그런데 그중에서도 경제적인
부담이 좀 많이 느껴지더라고요 제가
사회복지사 지금
호봉인정 7호봉 급여 차이를 보면
월에 30만 원 정도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 7년이 지났는데도 그런데
여기에서 뭐 식비 월세 생활비 보험비
다 빼고 나면 남는 돈은 사실 몇십만
원이에요 그 돈을 매달 아무리 열심히
저축을 해도 아 지금 삶도 힘든데 내
한몸 건사하기도 정말 힘든데 어떻게
미래를 꿈꿀 수 있을까 하고 자신이 없더
어 일단 저는 결혼이 너무 하고
싶었습니다 그 어렸을 때는 굉장히
빨리 결혼을 하고 싶었어요 27살 때
결혼을 하고 싶었지만 그 시간은 이미
지나갔고 지금에 와서 결혼을 주저하게
되는 거는 결국에는 제가 안정적인
직장이라는 곳에 정착한지 얼마 안
됐다라는게 가장 큰 거 같아요 2
3년 사이에 그 30만 원 내턴
월세는 지금은 약 만 원에 육박하는
세배의 금액이 되었고 그렇다면은 저는
그만큼 저축하던 금액을 제가 사는데
써야 되는 상황이 되어 버린 거죠
그렇다 보니까 내가 누군가와 뭔가 미래를
미래를
꿈꾼다는 약간 어려운 환경이 되어
버린 거죠 그렇다 보니까 나중에
나아가서 내가 자식을 낳을 수 있을까
혹은 누군가와 결혼을 했는데 그
사람과 살 수 있는 집은 내가 지금
할 수
있을까라는 의점
속해서이 출산과 결혼과 모든 것들이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죠 i
j also think Listening
Listening
you That
assumption Man
that resp
and CR schools are
very expensive and
and
in many women
maintain their own
careers and so I
think there
really a lot of
pressures on young
Korean men that are
making them very
They don't just
don't see a path to
delivering on
fatherhood in the
way their own
fathers did and
sus young have a
much more trad im of
they will be the
provider and the
mother will be home
full time whereas
young Korean women
are going in quite a
different Dire and
so There's really a
mismatch in
expectations men
have different
expectations of
women than women
have of
Men is one of the
things I think
leading to a lower
네 지금 어 너무나 날카롭게 오늘날
청년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그런
남녀들이 서로에 대해서 기대하는 바
그런 눈높이의 차이에 대한 말씀까지도 해주셨어요
저는 제일 와닿던게 노동 시간인 거
같아요 일중독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해가지고
이제 4시간이라는 노동시간을 만들려고
이제 대기업부터 차근차근 내려왔어요
11년에 되서야 이제 20인 비만의
사업장도 40시간의 근무라는 의무가
생긴 거죠 법적으로 그런데 이게 사실
그렇게 막 지켜지는 분위기는 아니에요
작은 회사로 갈수록 그 제도를
벗어나는 더 작은 소기업 일수록 더
많은 압박을 받고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고요 그렇게 되다 보니까 저는
가장이 일중독 사회라는 말이 참
와닿았습니다 같은 청년의 입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우리 지원님 님의
생각도 궁금합니다 어 아까 그것을
보고 저도 사실 노동이 제일 마음에
와닿습니다 한번은 야근을 이제 하고 오전
9시부터는 기차가 끊긴 거예요 제가
그때 수원에 살고 있어서 서울에서
수원으로 가야 하는데 아 기차가
끊겼다는 그 너무 슬픈 감정과 함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아 나는 지금 왜
살고 있을까 내가 일을 왜 할까라는
생각이 많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역
화장실에 들어가서 한시간 동안 펑펑
울고 집에 갔던 적이 좀 많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저만의 그런
상황은 아니고 많은 분들이 겪고 있고요
It's commonly assumed
assumed
that This is what
got Korea where It
is today and that
the economy would
falter if that
changed But I think
what We're seeing
now is again exactly
the same work habits
that created the
Korean miracle are
Now really
undercutting the
society and the very
strong message that
I see is that If you
want people to have children
앞서 교수님이 하신 말씀 중에 한국의
성공의 공식이 이제는 한국의 실패의
공식이 되고 있다라는 말씀이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work You can't be
surprised that
doesn't have
children it seems
that in korea you
Define the ideal
worker AS someone
who starts to work
in early adulthood
and Works full time
and lots of overtime
for 40 years without
a break taking no
time off for Child
bearing or Child
bearing or Elder
care or really
anything else that
mod fits men Married To
To
homemakers It's a
perfectly designed
for the workforce of
1950 That's not the
workforce in korea
to what you see is
that by failing to
change that
definition of the
ideal worker you
created a System
That's very bad for
women but it's also
bad for men and It's
worst of all for
children what I saw
is people not People
who didn't want to
have children but
People who felt they
couldn't do right by
the children and
that's why They were
choosing not to have
them 지속가능한 가족을 만들 수
있도록 우리가 일하는 방식을 바꿔야
된다라는 메시지를 계속 하고 계신데요
우리가 어떻게 그런워 시스템과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속가능한 가족을 시킬
people give great
defence to their
managers and to the
people higher up and
if the people higher
up realize that
actually this would
be good for my
company Because it
would raise
productivity it
wouldn't would
enable me to keep
women in the
workplace instead of
constantly turning
them through if the
people higher up
could understand
that and really
think about it and
Send a strong
message down the line
시스템의 어 윗단에 있는 어 오히려
매니저들과 남성들이 그 역할을 해야
인상적이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어 노동
시장에서 여성들의 상황은 더 좋지
않습니다 앞서 보도에서 보았듯이 한국
여성들은 OECD 국가들 중 가장 고학력자들이
고학력자들이
악이고 게다가 30대 여성들의 경력
나라입니다 저는 이제 고역 여성들이
경단녀가 되는 사례에 대해서 제
주변에서도 종종 보게 되는데요 일단
어 출장이 작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직군에 일하는 여성 같은 경우는
아기를 갖고 싶어도 임신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그런 경우에도
상을 그만두게 되고 또 출산을 하고
나서도 물론 육아 휴직도 쓰고 하지만
그 육아 단절이라는 어떤 그 구간이
존재합니다 아침에 이제 직장에 나오기
위해서 새벽같이 나와야 되는데 그때는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이 문을 열지
않거나 퇴근하고 나서도 그 시간들이
맞지 않아서 아침에 두시간 저녁에
두시간이 육아를 책임져줄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또 그 어려움을
습니다 제가 복직을 했을 때 놀라는
분들도 당연히 계셨고요 그리고 물론
이제 원래 정상으로는 복직했을 때을
받 를 낮게 받으면 안 된다라는
규정은 있지만 실질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지
받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두 번의 출산
휴가와 두 번의 유가 요직을
사용했는데요 그러다 보니까 계속 승진
기회를 놓치게 되고 10년 동안
과장이라는 한 직급에 계속 머물게
되는 경험도 했습니다 지금은 물론
이제 승진은 했지만 그 당시에는 제가
이렇게 만년 과장으로 이제 회사를
계속 다녀야 되는게 아닌가 이런
했었습니다 유가 유직 제도는 어
이제는 세계 어떤 나라에도 내놔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제도 그 자체는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실제
사용률이 대단히 낮다는 것이죠 어
지금 OECD 19개의 국가 중에서
실제 유가 휴직의 사용률을 보자면 최하위
최하위
수준입니다 왜 그럴까요 아직까지 유가
유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굉장히
많은 거 같습니다 어 여성도 그런데
하물면 남성 직원들이 육가 휴직을
쓴다고 했을 때는 더 반대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아직까지도 남성 유가
휴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적은 거
같고요 최근에는 그래도 한두 분씩
쓰는 분들이 보이는데 뭐 3개월이나
6개월 이렇게 짧게 쓰시는 경우가
많지 1년을 전체적으로 풀로 가셔
풀로 쓰시는 경우는 거의 보지를
못했습니다 저희 남편도 이제 공기업을
다니다가음 공무원으로 전환을 한
상태인데 저희 남편도 아직 한 번도
않았습니다 that people
employ they just
overwork the the
leakers colleagues
So that when the
leaker comes back
they Come back to
very grumpy
colleagues That's
not That's you know
part of what creates
the risk um around
having children and
so I think the
government should
Send a very strong
message to employers
that We're paying
We're investing a
lot of money in this
parental LE the
is a work go out on
after the govern is
ping the worker the
employer is not
paying the worker so
the employer should
take that money and
h a temporary worker
to Fill in for the
parent on leave
otherwise the parent
Will Come back from
leave to a lot of
very angry
colleagues who have
been overw even
more because of the
저희가이 자리에는 두 아이들을 위해서
두 번의 유가 유식을 쓰셨던 동수
님이 계세요 어떻게 두 아이를 위해서
두 번의 유가 유식을 쓰실 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경험은
어떠셨을까요 정말 사실 유가 유식을
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는
경제적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죠
왜냐면 우리가 생계 그래서 그 생계로
돌이켜 보면 첫 번째는 아내가 근무를
하고 있었어요 그래서 계산기를
두드리는 거죠 좋아 그리고 아내가
조금 벌고 국가에서 어느 정도 소득
대체를 해 주고 마이너스 통장으로
해서 오케이 살 수 있겠어가 됐었던
거예요 굶어 죽진
않겠군이라는 결론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인데 근데 또 반면에 어 그럼
경제적인 것이 단가라고 생각을 해
보면 또 그건 또 아닌 거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예를 들어서 제가 나
휴직 해라고 하면 다들 말해요 부럽다
그래서 제가 말하죠 너도 해 그럼
그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난 돈 없어 근데 그
부자해물탕 그거를 꼭 경험해 봐야 아
육아의 소중함도 훨씬 더 알게 되고
그러면서 가정도 훨씬 더 행복해지게
되고 아무래도 그래서 저는 남성의
구직을 되게 추천하고 전파하는 편이
된 거 같아요 그 경험
때문에 That's the
research shows take
parent talking
days AS
women take
par for for 맞아요
완전히 다르고요 오늘도 저희 딸이
사랑한다고 뽀뽀해주고 예 다했습니다 너무
너무
자랑스러워요 근데 아까 대기실에서
되게 아 너무 아이 이쁘고 좋다라고
해주셔가지고 아 진짜 좋은가 보다
이런 생각이 또 들더라고요
네 윌리엄스 교수님은 노동과 젠더에
대해서도 오랫동안 연구를
해오셨습니다 UN 개발계획 undp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내에 이어 두 번째로 지난 10년
동안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
강화 서어 나타나는 시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나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이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닐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wom are women count bec
bec
and but
기존에 있었던 그 전세대 남성들의
역할들 남성들이 맡았던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이
지금 청년들은 여전히 선택을 강요받고
있는 상황인 거 같아요 남성들 같은
경우에도 승진할 직
여성도 마찬가지로 일을 할래 아니면은
가족을 어 포기할래 어 이런 양자택일
상황에 남성과 여성 모든 청년들이 좀
놓여 있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양자택일 상황을
벗어나서 둘 다 어 조금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이 생길 때
청년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출산
결정들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것이
아이를 낳는 정이든 아니면 아이를
낳지 않는 결정이든 조 자신감을
가지고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Click on any text or timestamp to jump to that moment in the video
Share:
Most transcripts ready in under 5 seconds
One-Click Copy125+ LanguagesSearch ContentJump to Timestamps
Paste YouTube URL
Enter any YouTube video link to get the full transcript
Transcript Extraction Form
Most transcripts ready in under 5 seconds
Get Our Chrome Extension
Get transcripts instantly without leaving YouTube. Install our Chrome extension for one-click access to any video's transcript directly on the watch page.
Works with YouTube, Coursera, Udemy and more educational platforms
Get Instant Transcripts: Just Edit the Domain in Your Address Bar!
YouTube
←
→
↻
https://www.youtube.com/watch?v=UF8uR6Z6KLc
YoutubeToText
←
→
↻
https://youtubetotext.net/watch?v=UF8uR6Z6KLc